강좌유의사항
(필독) |
** 윌비스한림법학원 경찰간부 강의와 동일합니다.
** 교재는 수험생교재이기에 개별판매는 불가합니다. |
강좌소개 |
# 일정 : 11/6(토) ~ 2/19(토) # 횟수 : 15회 |
강좌특징 |
<확인중> |
수강생 전용 가제본 교재입니다.
✔이 책의 특징
1 중요한 내용들을 「별표」로 구분하여 강약을 조절하실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2 객관식 시험에서 출제될 만한 가능성이 높은 문장들은 밑줄처리를 해 두었으므로 이를 활용하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3 결론이 중요한 판례의 내용들은 각 판례 우상단에 [위헌] [합헌] 등의 결론을 적시하여 한 눈에 결론이 어떻게 내려졌는지를 파악할 수 있게 하였고, 비슷한 판례들이나 비교되는 판례들은 판례 하단 부분에 나열하여 한 번에 정리할 수 있도록 신경 썼습니다.
4 본 교재와 관련하여 질문사항이 있으시면 다음 카페(http://cafe.daum.net/doyag)로 오셔서 질문 주시면 빠른 시간 내에 성실히 답변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경찰간부 시험이 개편되어 새롭게 헌법 과목이 추가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경찰 간부 시험을 준비하시는 여러분들을 만나 뵙게 되어 영광입니다.
제가 추구하는 교재와 강의의 제1목적은 “양을 늘리지 않는다.”입니다. 이번에 새로 개편된 경찰간부 시험에 합격하기 위해서는 헌법 과목 이외에도 형사법이나 경찰학, 범죄학, 선택과목 등의 다양한 과목을 함께 치러야 합니다. 따라서 합격을 위해서는 밸런스 조절이 꼭 필요하기 때문에 합격에 필요한 만큼의 적정한 양을 공부하는 것이 바람직한 방향입니다.
수험에 있어서 너무 과다한 양은 수험생에게는 큰 부담이 되고, 너무 요약 위주로 공부하게 되면 사상누각沙上樓閣 즉 모래 위에 집을 짓는 형태의 아슬아슬한 공부가 되므로 이 중간점을 찾아 공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런 부분에 있어 도움을 드리기 위해 최선을 다 해서 교재와 강의를 준비하는 것이 저의 사명이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작년까지는 경찰 관련 강의를 하던 강사가 아니어서 경찰간부 시험을 준비하는 분들을 직접적으로 만나 뵐 기회가 별로 없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헌법 과목이 먼저 도입되어 시행되어 왔던 법학경채 시험에 합격하신 분들이 제 도움을 받았다는 연락을 많이 보내주셨습니다. 이러한 성원과 응원 덕분에 좀 더 많은 수험생 분들에게 도움을 드릴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되었습니다.
다른 직업들도 그러하지만 경찰은 특히 국가와 사회 그리고 어려움에 처한 국민들에게 선한 영향력과 도움을 줄 수 있는 긍지 높은 직업입니다. 특히 그 중에서도 경찰간부로서 수행하는 역할은 엄청난 비중을 가진다고 할 것입니다. 사명감을 가지고 경찰간부가 되려는 수험생 여러분이 원하는 꿈을 이룰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자 합니다.
제가 이 자리에 오기까지 도움 주신 분들이 정말 많았습니다. 평생 잊지 않고 갚아나가며 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려고 합니다.
특히 교재가 나오기까지 여러모로 많은 도움 주신 윌비스 출판부의 원성일 실장님, 권윤주 과장님, 김시원 사원님께 진심으로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
수험생 여러분의 목표는 합격이듯이,
저의 목표도 여러분의 합격입니다.
수험생 여러분과 저의 목표는 동일합니다.
여러분과 함께 할 수 있어서 감사한 마음이 가득합니다.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2021년 11월
이국령드림
∎교재의 특징과 알려드릴 사항
1
중요한 내용들을 「별표」로 구분하여 강약을 조절하실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별표」의 경우 별 2개는 경정승진 등의 각종 시험에서 정말 자주 출제되어왔던 내용들이고, 별 1개의 경우 각종 시험에서 종종 출제되는 내용들이며, 하얀 별의 경우 아직 출제되지 않았지만 다른 시험에서 출제되는 경향을 보이는 등 체크해 두어야 하는 내용들입니다.
2
객관식 시험에서 출제될 만한 가능성이 높은 문장들은 밑줄처리를 해 두었으므로 이를 활용하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또한 암기가 필요한 내용들은 표 등을 통해 쉽게 정리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3
결론이 중요한 판례의 내용들은 각 판례 우상단에 [위헌] [합헌]등의 결론을 적시하여 한 눈에 결론이 어떻게 내려졌는지를 파악할 수 있게 하였고, 비슷한 판례들이나 비교되는 판례들은 판례 하단 부분에 나열하여 한 번에 정리할 수 있도록 신경 썼습니다.
4
본 교재와 관련하여 질문사항이 있으시면 다음 카페(http://cafe.daum.net/doyag)로 오셔서 질문 주시면 빠른 시간 내에 성실히 답변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헌법과 헌법학2
제1절헌법의 의의 2
제2절헌법의 개념과 분류 2
│제1항│ 헌법의 개념 •2
│제2항│ 헌법의 분류 •3
제3절헌법의 특성과 기능 5
제4절헌법학과 헌법의 해석 6
│제1항│ 헌법관 •6
│제2항│ 헌법의 해석 •7
│제3항│ 합헌적 법률해석 •8
헌법의 제정과 개정12
제1절헌법의 제정 12
제2절헌법의 개정 12
헌법의 변천과 헌법의 보호17
제1절헌법의 변천 17
제2절헌법의 보호 18
대한민국헌정사21
제1절제헌헌법(1948년) 21
제2절제1차 개정헌법(1952년) / 발췌개헌 22
제3절제2차 개정헌법(1954년) / 사사오입개헌 22
제4절제3차 개정헌법(1960년) / 제2공화국 헌법 23
⋮
(이하생략)
대한민국헌법 일반론28
제1절대한민국헌법의 구조 28
제2절대한민국헌법의 기본원리 28
│제1항│ 자유민주적 기본질서 •28
│제2항│ 법치국가원리 •29
│제3항│ 권력분립원리 •46
제3절대한민국헌법 헌법전문 48
제4절대한민국헌법 총강 50
│제1항│ 국체, 국민주권의 원리 •50
│제2항│ 국민과 재외국민의 보호 •52
│제3항│ 영 토 •60
│제4항│ 평화적 통일의 지향 •62
│제5항│ 국제평화주의와 국군의 정치적 중립성 •63
⋮
(이하생략)
기본권 총론82
제1절기본권의 개념 82
제2절기본권의 범위 84
제3절기본권의 법적 성격 86
제4절기본권의 주체 87
제5절기본권의 효력 98
⋮
(이하생략)
기본권과 제도적 보장131
제1절제도적 보장 131
제2절정당제도와 정당의 자유 132
│제1항│ 정당의 개념 •132
│제2항│ 정당의 지위 •133
│제3항│ 정당조항의 연혁 •134
│제4항│ 헌법상 정당조항 •134
│제5항│ 정당의 성립과 소멸 •145
│⋮
(이하생략)
제3절지방자치제도 153
│제1항│ 지방자치제도의 의의 •153
│제2항│ 지방자치제도의 본질과 성격 •154
│제3항│ 지방자치제도의 내용 •156
포괄적 기본권169
제1절인간의 존엄과 가치⋅
No| | 강의명| | 무료보기| | 자료| | 강의시간 |
---|---|---|---|---|
1강 | 11월 06일 :ot | HIGH LOW |
![]() |
57분 |
2강 | 11월 06일 : 기본권의 범의 |
![]() |
53분 | |
3강 | 11월 06일 : 국립대학 | 53분 | ||
4강 | 11월 06일 : 과잉금지원칙의 적용범위 114p | 50분 | ||
1강 | 11월 13일 : 기본권과 제도적 보장 |
![]() |
49분 | |
2강 | 11월 13일 : 헌법 제8조 제2항의 의미 | 50분 | ||
3강 | 11월 13일 : 정당의 성립과 소멸 | 52분 | ||
4강 | 11월 13일 : 지방자치제도 | 54분 | ||
1강 | 11월 20일 : 조례와 규칙 p.160 |
![]() |
57분 | |
2강 | 11월 20일 : 포괄적 기본권 p.169 | 49분 | ||
3강 | 11월 20일 : 인격권 p.176 | 45분 | ||
4강 | 11월 20일 : 일반적 행동자유권 p.183 | 77분 | ||
1강 | 11월 27일 : 평등권 |
![]() |
50분 | |
2강 | 11월 27일 : 비례의 원칙 | 50분 | ||
3강 | 11월 27일 : 사회적 특수계급의 창설금지 | 49분 | ||
4강 | 11월 27일 : 관련 판례정리 | 57분 | ||
1강 | 12월 04일 : 신체의 자유 |
![]() |
43분 | |
2강 | 12월 04일 : 적법절차의 원리 | 55분 | ||
3강 | 12월 04일 : 영장주의 | 42분 | ||
4강 | 12월 04일 : 연좌제금기의 범위 | 48분 | ||
1강 | 12월 11일 : 진술거부권 |
![]() |
47분 | |
2강 | 12월 11일 : 국선변호인을 선임할권리 p.262 | 55분 | ||
3강 | 12월 11일 :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 p.270 | 45분 | ||
4강 | 12월 11일 : 개인정보자기결정권 p.276 | 59분 | ||
1강 | 12월 18일 : 양심의 자유 |
![]() |
51분 | |
2강 | 12월 18일 : 양심의 자유 | 49분 | ||
3강 | 12월 18일 : 종교의 자유 | 84분 | ||
1강 | 12월 25일 : 언론기관의 자유 |
![]() |
53분 | |
2강 | 12월 25일 : 집회 및 시위 | 41분 | ||
3강 | 12월 25일 :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 | 51분 | ||
4강 | 12월 25일 : 직업의 자유 | 78분 | ||
1강 | 12월 28일 : 직업의 자유를 침해한 경우 p.345 |
![]() |
50분 | |
2강 | 12월 28일 : 재산권 | 46분 | ||
3강 | 12월 28일 : 헌법 23조 제3항의 성격 | 50분 | ||
4강 | 12월 28일 : 참정권적 기본권 p.368 | 45분 | ||
1강 | 01월 07일 : 직접선거의 원칙 p.372 |
![]() |
45분 | |
2강 | 01월 07일 : 선거인의 정의 p.377 | 43분 | ||
3강 | 01월 07일 : 선거운동 p.385 | 48분 | ||
4강 | 01월 07일 : 판례 p.396 | 68분 | ||
1강 | 01월 15일 : 직접참정권 |
![]() |
47분 | |
2강 | 01월 15일 : 재판청구권 | 55분 | ||
3강 | 01월 15일 : 군사법원의 재판을 갖지 아니할 권리 | 47분 | ||
4강 | 01월 15일 : 재판 청구권을 침해하지 않는다는 판례 | 75분 | ||
1강 | 01월 22일 : 사회권적 기본권 |
![]() |
50분 | |
2강 | 01월 22일 : 교육을 받을 권리 | 45분 | ||
3강 | 01월 22일 : 부모의 자녀교육권 | 55분 | ||
4강 | 01월 22일 : 근로3권 | 72분 | ||
1강 | 01월 29일 : 환경권 |
![]() |
42분 | |
2강 | 01월 29일 : 혼인과 가족생활에서의 불합리한 차별금지 | 40분 | ||
3강 | 01월 29일 : 헌법과 헌법학 | 52분 | ||
4강 | 01월 29일 : 헌법의 제정과 개정 | 82분 | ||
1강 | 02월 12일 : 대한민국 헌정사1 |
![]() |
50분 | |
2강 | 02월 12일 : 대한민국 헌정사2 | 50분 | ||
3강 | 02월 12일 : 국가로부터 유인된 신뢰 | 51분 | ||
4강 | 02월 12일 : 판례 | 64분 | ||
1강 | 02월 19일 : 권력분립원리 p.46 |
![]() |
51분 | |
2강 | 02월 19일 : 국민과 재외국민의 보호 p.52 | 56분 | ||
3강 | 02월 19일 : 영해와 영공 p.63 | 51분 | ||
4강 | 02월 19일 : 문화국가원리 p.68 | 69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