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유의사항
(필독) |
** 기존 한림법학원 경찰간부강의와 동일한 강의입니다 |
강좌소개 |
# 일정 : 3/5(토) ~ 6/11(토) # 횟수 : 15회 # 교재 [주교재] 경찰헌법집중 기출해설(선동주 著, 윌비스) [부교재] 경찰헌법집중(선동주 著, 윌비스) → 1순환 기본교재 |
✔이 책의 특징
첫째, 각종 헌법시험 기출문제들 중 중요한 문제만 골라 기본서 목차순서대로 편성하였습니다.
둘째, 최신 판례 및 법령을 반영하고, 실용적인 문제만 골라 최소분량으로 구성하였습니다.
셋째, 문제마다 쟁점키워드, 문제출처, 중요도 및 난도를 표시하여 비중과 밀도를 구분하였습니다.
넷째, 중요한 내용에는 밑줄 표시, 두문자 표시, 도표 정리를 반영하였습니다.
다섯째, 모든 해설은 실용성을 고려하여 최대한 간단하게 요약하였습니다.
[머리말]
Ⅰ.본서의 의미와 특징
수험범위를 특정하고 올바른 공부방향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기출문제 분석에 바탕을 둔 학습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기출문제의 출제의도를 분석하고 종합하는 과정에서 출제대상이 되는 수많은 지식들 중에서도 중심이 되는 지식과 주변의 지식, 꼼꼼히 이해할 것과 단순히 정리할 것들을 구별하는 것이 가능해집니다. 평면적인 학습에서 벗어나 비중과 밀도가 구분된 입체적인 학습을 가능케 하는데 있어 기출문제만큼 가성비 좋은 정보를 찾기 어렵습니다.
기출지문은 수험에 가장 적합한 공부의 기준을 제시함과 동시에 반복해서 출제되는 경향이 강합니다. 각종 공직채용시험 및 자격시험에서 기출지문이 차지하는 비율이 회차별로 20~30%를 넘는다는 통계에 따를 때, 기출지문의 의미는 ‘이미 시험에 나온 지문’이 아니라 ‘반드시 시험에 나올 지문’으로 인식해야 하며, 그 만큼 정확한 지식습득이 필요합니다.
본서는 핵심적인 헌법지식의 습득과 실전적인 시험감각의 유지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해, 각종 공직채용시험 및 자격시험에서 출제된 문제들 중 학습효율성과 시험적중률을 극대화할 문제만을 추려 최소한의 분량으로 제작하였고, 기본서 학습과 자연스럽게 어우러질 수 있도록 기본서의 목차순서와 동일하게 편성하였습니다.
본서가 헌법수험의 시작부터 마지막까지 든든한 길라잡이가 되어주기를 바라면서 필자의 수험서제작 이념인 ‘형식은 간결하게! 실질은 풍부하게!’라는 원칙에 따른 고민의 결과물들을 본서에 충실히 담았습니다.
Ⅱ.경찰헌법 출제기준
경찰헌법은 한국 헌법의 내용 중에서 국가가 경찰력을 사용할 때 인권을 먼저 생각하게 하는 헌법의 법칙들로 구성된 부분입니다. 경찰헌법시험은 경찰의 인권가치 내면화를 위해 도입되었으며 그 출제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출제범위’는 헌법학 영역 중 통치구조론을 제외한 헌법총론⋅한국 헌법의 기본질서, 기본권 총론⋅각론 부분으로 한정됩니다. 헌법학의 영역은 크게 헌법총론, 기본권론, 통치구조론 3개 파트로 편성되는데, 경찰헌법에는 이들 중에서 통치구조론을 제외한 헌법총론(한국 헌법의 기본질서 포함)과 기본권론(총론⋅각론 포함)만 포함됩니다. ② ‘배점비율’은 헌법총론⋅한국 헌법의 기본질서 20% 내외, 기본권 총론⋅각론 80% 내외입니다. ③ ‘출제대상’은 헌법조문, 헌법부속법률, 헌법이론, 헌법판례를 포함합니다. 한국 헌법은 전문, 본문 10개장 130개조, 부칙 6개조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중 전문부터 제39조까지가 기본적인 출제대상이지만, 그 외 조항들 중에도 위 조항들의 의미파악과 관련되어 시험대상이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④ ‘출제문항’은 순경공채의 경우 100문항 중 20문항(50점 만점, 문항당 배점 2.5점), 경찰간부후보생 40문항(60점 만점, 문항당 배점 1.5점)으로 출제됩니다.
Ⅲ.본서의 구성체계
첫째, 각종 헌법시험 기출문제들 중 중요한 문제만 골라 기본서 목차순서대로 편성하였습니다.
본서는 2021년 10월을 기준으로 경정승진시험, 경찰경력채용시험, 변호사시험, 사법시험, 5급공채⋅국립외교원선발⋅지역인재7급채용 헌법시험, 국가직 7급공채시험, 지방직 7급공채시험, 서울시 7급공채시험, 국회직 8급공채시험, 법원행정고등고시, 법무사시험, 법원직 9급공채시험 등에서 출제된 문제들 중 중요한 이론, 조문, 사례를 다룬 문제를 선정하여 기본서인 ‘경찰헌법집중’의 목차순서대로 편성하였습니다.
둘째, 최신 판례 및 법령을 반영하고, 실용적인 문제만 골라 최소분량으로 구성하였습니다.
2021년 10월까지의 최신 헌법판례와 최신 헌법부속법률을 충실히 반영하였고, 헌법총론, 기본권론의 구성내용 전체를 아우르는 실용적인 문제만을 골라 최근의 출제경향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또한 지문들의 중복을 최소화하고 좋은 지문들만 남기기 위해 필요에 따라 여러 시험의 기출문제들을 병합하거나 변형하여 하나의 문제로 구성하였습니다.
셋째, 문제마다 쟁점키워드, 문제출처, 중요도 및 난도를 표시하여 비중과 밀도를 구분하였습니다.
문제마다 해당 문제의 출제영역을 직관할 수 있도록 쟁점키워드(예:/헌법개정절차 및 사법통제/)를 부여하였습니다. 그리고 문제마다 기출해설집 학습 이후의 정리 과정에서 학습의 비중과 밀도를 차별화할 수 있도록 출제의 의미, 출제의 비중, 어려운 정도를 분석한 중요도 및 난도 표시(예:중요도 ★★☆ 난도 ★★☆)를 부가하였습니다.
넷째, 중요한 내용에는 밑줄 표시, 두문자 표시, 도표 정리를 반영하였습니다.
해설 내용 중 문제해결의 실마리가 되는 부분과 나머지 부분을 쉽게 구별하여 특히 중요한 부분에 집중할 수 있도록 밑줄을 부여하였고, 이해만으로는 정리할 수 없거나 완벽한 암기까지 요구되는 내용은 두문자
[차례]
/제1편/ 헌법총론
제1장 헌법과 헌법학(null)2
제1절 헌법의 의의(null)2
⋮
(이하 생략)
제2절 헌법학 연구(null)6
⋮
(이하 생략)
제3절 헌법의 제정(null)9
제4절 헌법의 개정(null)10
제5절 헌법의 변천(null)15
제6절 헌법의 수호(null)15
제2장 대한민국헌법총설(null)19
제1절 대한민국헌정사(null)19
제2절 대한민국의 국가형태(null)26
제3절 대한민국의 구성요소(null)27
제4절 한국헌법의 기본원리(null)37
⋮
(이하 생략)
제5절 정당제도(null)61
제6절 선거제도(null)69
제7절 공무원제도(null)76
제8절 지방자치제도(null)79
/제2편/ 기본권론
제1장 기본권 총론(null)86
제1절 기본권보장의 역사(null)86
제2절 기본권의 성격(null)87
제3절 기본권의 주체(null)88
제4절 기본권의 포기(null)94
제5절 기본권의 효력(null)94
제6절 기본권의 보호의무(null)96
제7절 기본권의 갈등(null)99
제8절 기본권의 제한과 그 한계(null)102
제9절 기본권의 보호(null)109
제2장 인간의 존엄과 가치⋅행복추구권⋅평등권(null)111
제1절 인간의 존엄과 가치⋅행복추구권(null)111
제2절 평등권(null)117
제3장 자유권적 기본권(null)126
제1절 인신에 관한 자유(null)126
⋮
(이하 생략)
제2절 사생활영역의 자유(null)149
⋮
(이하 생략)
제3절 정신생활영역의 자유(null)161
⋮
(이하 생략)
제4절 경제생활영역의 자유(null)181
⋮
(이하 생략)
제4장 정치적 기본권(null)201
제1절 정치적 기본권의 의의와 유형(null)201
제2절 참정권(null)201
제5장 청구권적 기본권(null)208
제1절 청구권적 기본권의 의의 및 유형(null)208
제2절 청원권(null)209
제3절 재판청구권(null)212
제4절 국가배상청구권(null)222
제5절 형사보상청구권(null)223
제6절 범죄피해자구조청구권(null)226
제6장 사회적 기본권(null)228
제1절 사회적 기본권 일반론(null)228
제2절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null)228
제3절 교육을 받을 권리(null)233
제4절 근로의 권리(null)241
제5절 근로3권(null)245
제6절 환경권(null)252
제7절 혼인과 가족생활의 보장(null)253
제8절 모성의 보호와 보건권(null)255
✔이 책의 특징
첫째, 경찰헌법의 출제범위 및 출제대상에 속하는 사항들을 충실하게 반영하였습니다.
둘째, 헌법적 주제의 도입부에 직관적인 주제어와 코멘트를 기술하였습니다.
셋째, 헌법적 주제와 쟁점을 실전최적화의 관점에서 간명하게 요약하였습니다.
넷째, 본문 내용 중 중요한 내용에 밑줄, 키워드, 두문자를 표시하였습니다.
다섯째, 본문 내용 중 기초적인 법개념의 의미⋅내용을 각주로 구성하였습니다.
여섯째, 본문 내용에 각종 헌법시험의 기출현황을 표시하였습니다.
일곱째, 헌법조문, 헌법부속법률, 헌법판례를 최대한 반영하였습니다.
[머리말]
Ⅰ 본서의 제작의도
2022년 경찰채용시험 과목 개편으로 경찰헌법 과목이 새로 도입되었습니다.
헌법, 처음 채택된 생소한 과목인데다 법 과목이어서 막연한 부담을 가질 수 있습니다. 헌법학은 모든 법과 원칙의 근본이 되는 국가 탄생의 원리를 다룬다는 점에서 접근이 쉬운 학문이 아닙니다. 그러나 국가를 만든 사람들의 기본적인 정서를 탐구하는 학문이라는 점을 아울러 고려하면, 일반적인 상식과 정서로써 소통하고 공감할 수 있는 학문입니다. 모든 법 과목 공부가 그러하듯이 헌법도 가장 기초가 되는 법 개념부터 시작하여 차근히 지식을 쌓아가다 보면 곧 다양한 법 원리들을 공식화할 수 있고 이후부터 수험대상들이 특정되고 축약되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어 짧은 시간 안에 막연한 부담들이 해소되는 과목입니다.
‘경찰 헌법집중’은 ‘이해와 정리’, ‘선택과 집중’이라는 합격을 위한 두 가지 학습전략을 실천하여 종합적인 사고능력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제작된 실전형 기본서입니다. 즉 개념과 원리에 충실한 이해과정을 거쳐 각인효과 큰 정리결과에 도달하는 ‘이해와 정리’의 학습전략, 기본적인 지식을 굳건하게 다진 다음 확장적인 지식을 거두어들이는 ‘선택과 집중’의 학습전략을 실현하는 데 목표를 두고 제작되었습니다.
헌법을 처음 접하는 수험생 여러분의 눈높이에서 시작하여 헌법이라는 숲을 보기 위한 능력부터 문제풀이에 직접적인 도움이 되는 나무를 볼 수 있는 능력까지 기를 수 있는 내용들을 담았으니 차분히 학습하시면 원하는 결실을 수확할 수 있을 것입니다.
Ⅱ본서의 제작경위
본서는 경정승진시험, 변호사시험, 법원행정고시, 5급공채시험, 7급공채시험 등 각종 헌법시험을 준비하는 수험생들의 관심과 성원에 힘입어 완성도와 실용적 기능성이 증강되어 왔습니다. 수년간의 수험헌법 연구과정에서 맺힌 결실들을 모아 이제 경찰채용시험 수험생들에게 적합한 수험기본서를 출간하게 되었습니다. 필자의 수험서제작 이념인 ‘형식은 간결하게! 실질은 풍부하게!’라는 원칙에 따른 고민의 결과물들을 본서에 충실히 담았습니다. 본서가 헌법수험의 시작부터 마지막까지 든든한 버팀목이 되어주기를 바라면서 그동안의 헌법학적 성과를 수험에 적합한 형태로 수록하였습니다.
Ⅲ경찰헌법 출제기준
경찰헌법은 한국 헌법의 내용 중에서 국가가 경찰력을 사용할 때 인권을 먼저 생각하게 하는 헌법의 법칙들로 구성된 부분을 의미합니다. 신규 도입된 경찰헌법의 출제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도입취지’는 인권가치 내면화를 위해 경찰 인재 채용단계부터 인권문제에 대한 의식을 확인하려는 목적입니다. ② ‘출제범위’는 헌법학 영역 중 통치구조론을 제외한 헌법총론⋅한국 헌법의 기본질서, 기본권 총론⋅각론 부분으로 한정됩니다. 헌법학의 영역은 크게 헌법총론, 기본권론, 통치구조론 3개 파트로 편성되는데, 경찰헌법에는 이들 중에서 통치구조론을 제외한 헌법총론(한국 헌법의 기본질서 포함)과 기본권론(총론⋅각론 포함)만 포괄됩니다. ③ ‘배점비율’은 헌법총론⋅한국 헌법의 기본질서 20% 내외, 기본권 총론⋅각론 80% 내외입니다. ④ ‘출제대상’은 헌법조문, 헌법부속법률, 헌법이론, 헌법판례를 포괄합니다. 한국 헌법은 전문, 본문 10개장 130개조, 부칙 6개조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중 전문부터 제39조까지가 기본적인 출제대상이지만, 그 외 조항들도 위 조항들의 의미파악 과정에서 인식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완전히 배제된 것은 아닙니다. ⑤ ‘출제문항’은 순경공채의 경우 100문항 중 20문항(50점 만점, 문항당 배점 2.5점), 경찰간부후보생 40문항(60점 만점, 문항당 배점 1.5점)으로 출제됩니다.
Ⅳ 본서의 구성체계
첫째, 경찰헌법의 출제범위 및 출제대상에 속하는 사항들을 충실하게 반영하였습니다.
본서는 헌법학의 영역 중 통치구조론을 제외한 헌법총론(한국 헌법의 기본질서 포함), 기본권론(총론⋅각론 포함)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파트의 내용을 이루는 헌법조문, 헌법부속법률, 헌법이론, 헌법판례들을 주제별로 수록하고 있습니다.
둘째, 헌법적 주제의 도입부에 직관적인 주제어와 코멘트를 기술하였습니다.
본문 내용 학습에 앞서 해당 테마의 구성요소들을 직관할 수 있도록 ‘절’과 ‘항’의 제목 아래에 주제어(중심 사상 표현문구)를 명시하고, 각 제목 옆에 코멘트(간략한 논평)를 서술하였습니다. 이는 헌법적 논의의 출발점과 방향성을 직관적으로 인식하여 본문에 담긴 내용들의 의미를 개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서 본서의 제작의도가 반영된 특징적인 요소이므로 꼭 한 번 읽어 두시기 바랍니다.
셋째, 헌법적 주제와 쟁점을 실전최적화의 관점에서 간명하게 요약하였습니다.
국가최고법의 속성상 헌법학의 지식체계는 방대한 영역을 형성하고 있지만, 시험제도의 도입 및 운영 취지상 헌법시험의 평가대상은 한정될 수밖에 없습니다. 각종 헌법시험의 기출문제를 분석해 보면 헌법이해의 기초가 되는 근본사항들로 시험대상이 한정되는 공통점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서는 실전형 기본서의 실용적인 기능성을 고려하여 방대한 헌법학 지식들을 시험에 최적화된 내용으로 재구성하고 헌법적 주제(주된 문제) 및 쟁점(논쟁 사항)들을 최대한 간결하고 명료한 문체로 서술하였습니다.
넷째, 본문 내용 중 중요한 내용에 밑줄, 키워드, 두문자를 표시하였습니다.
본문의 문장들 중 특히 중요한 문장을 구별하기 쉽게 밑줄을 부여하였고, 문장 내용 중 핵심적인 단어나 문구(키워드)는 굵은 색 글자체로 표시하였으며, 완벽한 암기가 필요한 내용은 첫머리 글자(두문자)를 모아 의미를 갖춘 문구로 구성하였습니다. 이러한 장치들은 각인효과 큰 정리결과를 목표로 하는 본서의 제작의도에 따른 결과물입니다. 이해를 못해도 암기할 순 있지만 암기되지 않으면 실제로 적용할 수 없습니다. 이해와 정리는 병행되어야 할 학습전략이지만, 시험에서 가장 중요한 항목은 정리이고, 이해는 암기부담을 최대한 줄여 정리를 돕는 방법론입니다. 특히 밑줄 또는 키워드가 표시된 내용은 익숙하게 아는 정도의 숙지를 요구하지만, 두문자 표시된 내용은 외워서 잊지 않을 정도의 암기까지 요구된다는 점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다섯째, 본문 내용 중 기초적인 법개념의 의미⋅내용을 각주로 구성하였습니다.
그 자체로서 시험대상은 아니지만 본문의 내용을 이해하려면 반드시 인식해야 할 기초법개념들의 의미⋅내용을 각주로 구성하였습니다. 법학 공부는 법개념의 이해로부터 출발합니다. 가장 기초적인 법개념을 제대로 알지 못한다면 고급 법개념을 안다고 하여도 완벽하게 이해했다고 보기 어렵습니다. 많은 수험생들과 상담을 나눈 경험에 비추어 아는 것임에도 문제를 풀지 못했다고 하는 경우의 대다수가 기초법개념의 인식 부족과 무관하지 않습니다. 시험에서 직접 평가대상이 되는 다양한 법개념들을 지배하려면 그 기초가 되는 개념들의 이해가 선행되어야 합니다.
여섯째, 본문 내용에 각종 헌법시험의 기출현황을 표시하였습니다.
기출문제는 수험에 적합한 학습방향을 제시할 뿐만 아니라 다시 출제되는 경향이 강하므로 학습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각종 헌법시험에서 출제된 중요한 기출항목들을 본문의 해당 부분에 별표(★)로 표시하였습니다. 4
/제1편/ 헌법총론
제1장 헌법과 헌법학2
제1절 헌법의 의의2
제1항 헌법의 개념과 분류2
Ⅰ.헌법의 개념 _ 2
Ⅱ.헌법의 분류 _ 3
제2항 헌법의 특성5
Ⅰ.헌법의 사실적 특성 _ 5
Ⅱ.헌법의 규범적 특성 _ 5
제2절 헌법학 연구6
제1항 헌법의 해석6
Ⅰ.헌법해석의 준칙 및 헌법해석의 방법 _ 6
Ⅱ.합헌적 법률해석 _ 6
제2항 헌법관8
Ⅰ.법실증주의적 헌법관 _ 8
Ⅱ.결단주의적 헌법관 _ 9
Ⅲ.통합주의적 헌법관 _ 9
제3절 헌법의 제정10
Ⅰ.헌법제정권력의 의의 _ 10
Ⅱ.헌법제정권력의 한계 _ 10
Ⅲ.헌법제정권력과 헌법개정권력의 관계 _ 10
제4절 헌법의 개정11
Ⅰ.헌법개정의 의의 _ 11
Ⅱ.헌법개정의 한계 _ 11
Ⅲ.한국헌법상 헌법개정의 절차 _ 12
제5절 헌법의 변천13
Ⅰ.헌법변천의 의의 _ 13
Ⅱ.헌법변천의 요건 및 한계 _ 13
Ⅲ.헌법변천의 예 _ 13
제6절 헌법의 수호14
Ⅰ.헌법수호의 의의 _ 14
Ⅱ.저항권 _ 14
Ⅲ.방어적 민주주의 _ 15
제2장 대한민국헌법총설17
제1절 대한민국헌정사17
Ⅰ.제헌헌법(1948년) _ 17
Ⅱ.제1차 개헌(1952년, 발췌개헌) _ 17
Ⅲ.제2차 개헌(1954년, 사사오입개헌) _ 17
Ⅳ.제3차 개헌(1960년, 의원내각제개헌) _ 18
Ⅴ.제4차 개헌(1960년, 부정선거관련자처벌개헌) _ 18
⋮
(이하 생략)
제2절 대한민국의 국가형태23
Ⅰ.국가형태의 분류 _ 23
Ⅱ.대한민국의 국가형태 _ 23
제3절 대한민국의 구성요소25
Ⅰ.국가권력 _ 25
Ⅱ.국 민 _ 25
Ⅲ.국가의 영역 _ 34
제4절 한국헌법의 기본원리37
제1항 한국헌법의 전문37
Ⅰ.헌법전문의 의의 _ 37
Ⅱ.헌법전문의 법적 성격 _ 37
Ⅲ.한국헌법전문의 내용 _ 38
제2항 국민주권의 원리39
Ⅰ.국민주권원리의 개념 _ 39
Ⅱ.주권이론의 변천 _ 39
Ⅲ.국민주권의 본질 _ 40
제3항 민주주의의 원리41
Ⅰ.민주주의원리의 의의 _ 41
Ⅱ.민주주의원리의 내용 _ 41
제4항 법치주의의 원리42
Ⅰ.법치주의원리의 의의 _ 42
Ⅱ.법치주의의 내용 _ 42
Ⅲ.소급입법과 신뢰의 보호 _ 44
제5항 사회국가의 원리50
Ⅰ.사회국가원리의 의의 _ 50
Ⅱ.사회국가원리의 내용 _ 50
Ⅲ.사회국가원리의 한계 _ 50
Ⅳ.한국헌법상 사회국가원리의 구현 _ 51
제6항 문화국가의 원리55
Ⅰ.문화국가원리의 의의 및 내용 _ 56
Ⅱ.한국헌법상 문화국가원리의 구현 _ 56
Ⅲ.문화국가원리 관련 헌법재판소 판례 _ 56
제7항 평화국가의 원리
No| | 강의명| | 무료보기| | 자료| | 강의시간 |
---|---|---|---|---|
1회 1강 | 03월 05일 : 헌법의 의의 | HIGH LOW | 53분 | |
1회 2강 | 03월 05일 : 헌법의 수호 | 63분 | ||
1회 3강 | 03월 05일 : 국가의 영역 | 53분 | ||
1회 4강 | 03월 05일 : 소급입법과 신뢰의 보호 | 71분 | ||
2회 1강 | 03월 12일 : 경제질서 판례 p.54 | 61분 | ||
2회 2강 | 03월 12일 : 정당제도 p.65 | 78분 | ||
2회 3강 | 03월 12일 : 선거제도 p.76 | 59분 | ||
2회 4강 | 03월 12일 : 선거운동 p.90 | 53분 | ||
3회 1강 | 03월 19일 : 공무원제도 p.97 | 56분 | ||
3회 2강 | 03월 19일 : 지방자치제도 p.106 | 54분 | ||
3회 3강 | 03월 19일 : 기본권의 주체 p.127 | 66분 | ||
3회 4강 | 03월 19일 : 통제의 한계 p.139 | 66분 | ||
4회 1강 | 03월 26일 : 총론- 기본권의 보호 |
![]() |
76분 | |
4회 2강 | 03월 26일 : 기본권의 보호, 평등권 | 75분 | ||
4회 3강 | 03월 26일 : 자유권적 기본권 | 53분 | ||
4회 4강 | 03월 26일 : 신체의 자유의 절차적보장 | 49분 | ||
5회 1강 | 04월 02일 : 진술거부권 |
![]() |
70분 | |
5회 2강 | 04월 02일 : 사생활 영역의 자유 | 76분 | ||
5회 3강 | 04월 02일 : 통신 제한기한 연장 | 60분 | ||
5회 4강 | 04월 02일 : 상업광고 | 48분 | ||
6회 1강 | 04월 09일 : 액세스권 |
![]() |
64분 | |
6회 2강 | 04월 09일 : 집회결사의 자유 | 59분 | ||
6회 3강 | 04월 09일 : 재산권 | 65분 | ||
6회 4강 | 04월 09일 : 직업의 자유 | 52분 | ||
7회 1강 | 04월 16일 : 정치적 기본권 | 66분 | ||
7회 2강 | 04월 16일 : 공직선거법 | 69분 | ||
7회 3강 | 04월 16일 : 신속한 재판 | 56분 | ||
7회 4강 | 04월 16일 : 사회적 기본권 | 37분 | ||
7회 5강 | 04월 16일 : 교육받을 권리 | 108분 | ||
8회 1강 | 04월 23일 : 헌법전문의 규범성 | 68분 | ||
8회 2강 | 04월 23일 : 개정한계조항 | 48분 | ||
8회 3강 | 04월 23일 : 헌정사 | 49분 | ||
8회 4강 | 04월 23일 : 대한민국의 국가형태 | 49분 | ||
9회 1강 | 04월 30일 : 재외국민 보호의무 | 71분 | ||
9회 2강 | 04월 30일 : 국민조건의 원리 (44번~) | 56분 | ||
9회 3강 | 04월 30일 : 신뢰침해성 (50번~) | 65분 | ||
9회 4강 | 04월 30일 : 조세원칙 (59번~) | 55분 | ||
10회 1강 | 05월 07일 : 69번 | 64분 | ||
10회 2강 | 05월 07일 : 21번 | 69분 | ||
10회 3강 | 05월 07일 : 지방자치제도 | 66분 | ||
10회 4강 | 05월 07일 : 140번 | 31분 | ||
11회 1강 | 05월 14일 : 최소보장의 의미 | 62분 | ||
11회 2강 | 05월 14일 : 기본권 이중성 | 59분 | ||
11회 3강 | 05월 14일 : 재산권 형성유보 | 58분 | ||
11회 4강 | 05월 14일 : 기본권 각론 | 55분 | ||
12회 1강 | 05월 21일 : 문제 127번~ | 64분 | ||
12회 2강 | 05월 21일 : 문제 135번~ | 62분 | ||
12회 3강 | 05월 21일 : 문제 145번~ | 48분 | ||
12회 4강 | 05월 21일 : 문제 144번~ | 64분 | ||
13회 1강 | 05월 28일 : 167번~ | 66분 | ||
13회 2강 | 05월 28일 : 176번 | 70분 | ||
13회 3강 | 05월 28일 : 190번 | 52분 | ||
13회 4강 | 05월 28일 : 202번 | 51분 | ||
14회 1강 | 06월 04일 : 211번~ | 46분 | ||
14회 2강 | 06월 04일 : 218번~ | 51분 | ||
14회 3강 | 06월 04일 : 229번~ | 51분 | ||
14회 4강 | 06월 04일 : 241번~ | 91분 | ||
15회 1강 | 06월 11일 : 교육을 받을 권리 | 54분 | ||
15회 2강 | 06월 11일 : 근로의 권리~ | 61분 | ||
15회 3강 | 06월 11일 : 근로3권 관련~ | 73분 |